목록개발공부 (7)
500error
저는 리엑트 네이티브, 플러터, 코틀린으로 앱 개발을 해보았습니다.지금 제가 주로 밀고 있는것은 플러터입니다. 그이유가 뭐냐면요 1. 하이브리드 앱 개발이게 진짜 큰 장점입니다. dart언어만 알아도 간단한 앱이 제작이 가능합니다.깊게 들어가면 swift나 kotlin, java가 필요하기는 해도 앱 제작이 가능하다는 점 2. 성능 차이가 크지 않다.사람들이 네이티브를 선택하는 이유중 하나가 성능 이슈가 크다고 생각한다.리엑트 네이티브의 경우에는 성능 꽤 있지만, 플러터는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다.우리가 평소에 쓰는 앱들 정도에는 성능 이슈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용량이슈나 하드웨어 기기 제어 제외) 3. 쉽게 입문 가능다트 언어가 다른 언어와 유사성이 있기에 아주 빠르게 학습이 가능하다.다트 언어가..
from selenium import webdriver from selenium.webdriver.common.by import By from selenium.webdriver.common.keys import Keys from selenium.webdriver.support.ui import Select import time # 1. 셀레니움 열기 driver = webdriver.Chrome() # 2. 로그인 페이지로 이동 login_url = "https://ticket.interpark.com/Gate/TPLogin.aspCPage=B&MN=Y&tid1=main_gnb&tid2=right_top&tid3=login&tid4=login" driver.get(login_url) # 3. 아이디, 패..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kOvWH/btr8kdS4f9t/fQDhThYRREq5cYL4g5wszk/img.png)
조건문에서 자바와 코틀린의 큰 차이점은 자바에서(statement)였던 조건문이 코틀린에서는 조건식인(expression)이다. expression 즉, 식이라는 것은 말 그대로 return값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statement는 말 그대로 구문이다 그래서 그 코드 조각을 실행하는 하나의 문장들이라고 보면 된다 fun main(){ max(10, 3) } fun max(a : Int, b: Int){ val result = if (a > b){ println(a) } else { println(b) } } 여기 이 코드에서 이 만큼이 값이 될 수 있다 실제로 이만큼이 값이라고 보면 return값을 Unit으로 보면 된다 왜냐하면 println해서는 return값이 없으니까 println(b) 그러니..